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ite-to-Site VPN
- transit gateway
- Kubernetes
- prometheus
- 비구조화 할당
- docker
- VPC
- 구조분해 할당
- JavaScript
- grafana
- docker swarm
- optional chaining
- Proxy Resource
- Service
- DynamoDB
- Custom Resource
- api gateway
- null 병합 연산자
- 옵셔널 체이닝
- CloudFormation
- 자바스크립트
- Endpoints
- elasticsearch
- vgw
- AWS
- 단축 평가
- cognito
- Await
- On-Premise
- 온프레미스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6)
만자의 개발일지

가상환경(venv)이나 현재 파이썬에 pip로 설치된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requirements.txt라는 하나의 파일로 만들 수 있습니다. requirements.txt를 사용하면 또 다른 가상환경(venv) 혹은 다른 파이썬 환경에서 똑같은 패키지를 설치해야 하는경우 단 한번의 명령어로 requirements.txt.에 정의되있는 패키지들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pip freeze 명령어를 통해 requirements.txt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pip freeze > requirements.txt -r 옵션을 통해 requirements.txt에 정의되있는 패키지들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프로미스(Promise) 자바스크립트는 비동기 처리를 위해 콜백함수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콜백을 너무 남용하게 되면 우리가 흔히 부르는 콜백 지옥에 빠질 수가 있습니다. 또한 에러처리도 힘들 뿐더러 여러 개의 비동기 처리를 한번에 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콜백 함수의 단점을 보완하며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객체를 프로미스(Promise)라 합니다. 프로미스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동기 처리 시점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연속된 비동기 처리 작업을 수정, 삭제, 추가하기 편하고 유연하다. 비동기 작업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코드의 유지 보수성이 증가한다. 프로미스는 객체이기 때문에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여 인스턴스화할 수 있습니다. 프로미스의 생성자 함수는 res..

클로저는 함수와 함수가 선언된 어휘적 환경(Lexical enviroment)의 조합입니다. 클로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휘적 범위 지정(Lexical scoping)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휘적 범위 지정(Lexical scoping) 스코프는 함수를 호출할 때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에 선언했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를 어휘적 범위 지정(Lexical scoping)이라 합니다. 예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outerFunc()(외부함수)는 지역 변수 name과 함수 innerFunc()을 생성합니다. innerFunc()은 outerFunc()안에서 정의된 내부 함수 입니다. innerFunc()을 보면 외부함수인 outerFunc()에 정의된 지역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보..

콜백함수(Callback Function) 콜백함수는 함수를 활용하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정확하게는 콜백함수는 파라미터로 전달받은 함수를 말합니다. 파라미터로 콜백함수를 전달받고 함수 내부에서 필요할 때 콜백함수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예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add함수로 리턴된 값을 printResult함수의 인자로 전달해 주었습니다.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function printResult(result) { console.log(result) } printResult(add(10,20)) 위 코드를 콜백함수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 add함수에 콜백함수를 받을 print라는 파라미터를 추가하고 내부에서 x와 y의 합을 인자로 전달해 ..

Private Methods and Fields 자바스크립트에서 클래스의 속성들은 기본적으로 Public이기 때문에 클래스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ES2019부터 #prefix 를 추가해 클래스 내부에서 Private하게 메소드와 필드를 선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ivate한 메소드와 필드는 클래스 내부에서만 불러올 수 있습니다. class ClassWithPrivateMethodAndField{ field = 'public field' #privateField = 'private field' publicMethod() { return 'call private method: '+ this.#privateMethod(); } #privateMethod() { return this.#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