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ndpoints
- VPC
- prometheus
- DynamoDB
- docker
- Service
- JavaScript
- Await
- Custom Resource
- On-Premise
- Kubernetes
- CloudFormation
- vgw
- 옵셔널 체이닝
- 자바스크립트
- transit gateway
- 온프레미스
- docker swarm
- elasticsearch
- optional chaining
- null 병합 연산자
- cognito
- Proxy Resource
- Site-to-Site VPN
- 단축 평가
- 비구조화 할당
- AWS
- grafana
- api gateway
- 구조분해 할당
- Today
- Total
목록AWS (40)
만자의 개발일지
CodeCommit 에 변경된 내용을 push 하려하는데, 엥 자꾸 403을 반환한다. 뭐가 문제일까 싶어 구글링을 해보니 자격증명에 관한 문제라고 한다. 자격증명? 그게 뭔데? 그 전에 IAM에 대해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이란 AWS 서비스들에 대한 인증 및 권한을 관리하는 AWS서비스이다. 이게 왜 중요한가 하면 AWS에서는 이 자격증명이란놈을 IAM에서 관리하기 때문이다. 처음 AWS 계정을 생성하면 Root User Credential(루트 사용자 권한) 이라는 자격증명을 받게 된다. 이를 통해 AWS의 모든 서비스들을 마음대로 만질 수 있지만 협업에 있어서는 좋은 방법은 아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한다면 ok) 보통은 루트 계정을..
도커를 공부하다 s3에 있는 파일을 전체 복사할 일이 생겼습니다. 파일 복사는 압축파일이나 단일파일 밖에 안해 봤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정리를 좀 해두려 합니다. AWS S3 버킷에 있는 모든 파일을 복사하고 싶을때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려하면 됩니다. $ aws s3 cp s3:// --recursive --exclude "*/*" --recursive --exclude "*/*" 옵션을 붙이면 해당 S3안에 있는 모든 파일을 포함합니다. ls 명령어를 통해 파일이 잘 복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deCommit AWS CodeCommit은 안전한 GIt 기반의 레포지토리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소스 제어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진행하면서 개발된 소스를 저장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CodeCommit은 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이므로 소스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레포지토리를 생성만 하면 되며, 프로비저닝 및 확장할 하드웨어나 설치, 구성, 운영할 소프트웨어가 없습니다. 또한 AWS CodeCommit의 가져오기 요청, 분기 및 병합 기능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소스코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AWS CodeCommit은 HTTPS, SSH를 활용하여,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소스 저장에 사용되는 레포지토리는 Key Management S..
CI/CD CI(Continuous Integration)/CD(Continuous Delivery/Continuous Deployment)란,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여러 단계에 대한 자동화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빠르고 짧은 주기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CI/CD의 개념은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Continuous Delivery) 및 지속적인 배포(Continuous Deployment)를 통해 새로운 코드의 통합, 테스트, 릴리스, 배포 등의 어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대한 자동화 과정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 CI는 Continuous Integrati..
IAM IAM(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은 AWS리소스를 사용하도록 인증 및 권한 부여된 대상을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출입이 허가된 인원들은 출입 카드를 통해 출입하거나, 리스트에 방문 기록을 하고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IAM은 이러한 출입 권한을 부여하는 출입카드나, 방문 허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AWS 서비스 입니다. 보안 주체가 인증(Authentication)과 권한(Authorization)을 받아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승인하는 것이 IAM의 주요 작동 방식입니다. Policy IAM Policy는 AWS의 서비스의 권한을 부여하여 리소스에 액세스 접근을 막거나 허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Policy는 Entity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Entit..
AWS를 사용하다 보면 스토리지 한번쯤은 들어보고 사용하게 될텐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의 스토리지 서비스와 스토리지가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토리지 스토리지란 말 그대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입니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스토리지를 직접 서버에 연결 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에는 크게 3가지 종류 DAS(Direct Attached Storage), NAS(Network Attached Storage), SAN(Storage Area Network) 가 있습니다. 각각이 무엇이고 무슨 역할을 하는지 가볍게 알아봅시다. DAS(Direct Attached Storage) DAS는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접속하는 방법이다. 서버의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