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단축 평가
- elasticsearch
- On-Premise
- Endpoints
- 비구조화 할당
- docker swarm
- 러스트
- Await
- AWS
- api gateway
- prometheus
- docker
- 온프레미스
- 옵셔널 체이닝
- optional chaining
- vgw
- 자바스크립트
- cognito
- Custom Resource
- Service
- JavaScript
- Kubernetes
- transit gateway
- Proxy Resource
- Site-to-Site VPN
- VPC
- null 병합 연산자
- grafana
- 구조분해 할당
- rus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0)
만자의 개발일지

Alias Alias는 기본 명령어 또는 긴 명령어를 하나의 별칭으로 간단히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복잡한 명령어나 여러 옵션을 사용하는 명령어를 간단한 별칭으로 줄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설정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선언-- # alias ='명령어' --삭제-- # unalias 간단한 예제를 통하여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alias c='clear' # c # alias l='ls -al' # l (결과 생략) 위와 같이 c를 clear라는 명령어로 선언하고 c를 입력하면 화면이 깨끗해지는 것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밑에 l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ls -al 이라는 명령어를 l 이라는 별칭으로 선언한 후 l 을 입력하면 ls -al 에 대한 결과를 출력할 것 ..

crontab crontab은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의 시간 기반 잡 스케줄러로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정기적으로 반복 수행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패키지입니다. crontab은 대부분의 리눅스 환경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습니다. crontab이 활성화 되있는지 확인해보고싶으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systemctl status crond 초록색 부분과 같이 Active: active (running) 표시가 있고 Loaded : loaded(enabled) 가 되있다면 crontab이활성화 되있는 겁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crontab을 어떻게 설정하고 다루는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먼저 crontab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시고 싶으시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 ..

htop top과 htop은 운영체제의 CPU, Memory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htop은 top과 달리 프로세스 kill, 정렬, 필터링 등의 여러 기능을 제공해주고, 컬러도 지원해주기 때문에 top보다 가독성이 뛰어납니다. htop 설치 htop의 경우 우분투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하지만 CentOS에서는 직접 설치를 해줘야 하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CentOS를 이용해 htop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리눅스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줍니다. 업데이트를 하는 이유는 설치가능한 리스트를 업데이트 해주기 위해서 입니다. # sudo yum update -y 두번째로 epel repo를 설치해줍니다. # sudo yum install -y epel-r..

CentOS를 하면 가장 먼저 해야 될 일은 인터넷이 연결되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패키지를 다운 받아야하는데 인터넷 연결이 안되있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첫번째로 구글 인터넷 연결이 되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글 dns 서버에 핑을 보내봅시다. # ping 8.8.8.8 핑이 잘 보내진다면 인터넷 연결이 되있는겁니다. 만약 핑이 안보내진다면 다음으로 넘어가봅시다. 두번쨰는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 ip addr 그럼 이와같이 비슷하게 결과가 나올 것인데 첫번쨰는 localhost고 두번째가 저희가 사용할 네트워크입니다. 사람마다 네트워크명이 다를수도 있습니다. 인터넷 연결이 안되있다면 inet 부분이 안나와있습니다. 세번째는 ens33파일을 vi로 열어 재부팅해도 네..
리눅스에서 파일 위치를 찾는 방법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locate, find, whereis 각각이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봅시다. locate locate는 디렉토리에서 찾는게 아닌 DB(mlocate.db)에서 찾기 때문에 locate를 사용하기 전 updatedb를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디바이스에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들을 DB에 꼭 저장해줘야합니다. locate는 DB에서 파일을 찾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sudo yum install -y mlocate # updatedb # locate *.log (결과 생략) 위 명령어는 모든 .log 파일들의 위치를 출력한다는 뜻입니다. find find는 locate와 다르게 디렉토리에서 파일들을 찾습니다.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