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WS
- 구조분해 할당
- Custom Resource
- JavaScript
- 비구조화 할당
- On-Premise
- null 병합 연산자
- api gateway
- Service
- Endpoints
- 자바스크립트
- transit gateway
- docker swarm
- rust
- optional chaining
- Site-to-Site VPN
- 단축 평가
- VPC
- grafana
- 옵셔널 체이닝
- 온프레미스
- docker
- Kubernetes
- vgw
- elasticsearch
- Proxy Resource
- 러스트
- prometheus
- cognito
- Awai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0)
만자의 개발일지

클라우드 컴퓨팅에너는 세 가지 모델이 있습니다. 인프라를 제공해주는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플랫폼을 제공해주는 PaaS(Platforms-as-a-Service),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제공해주는 SaaS(Software-as-a-Service) 이 3가지 유형은 해당하는 서비스마다 저마다 다른 클라우드 컴퓨팅 옵션을 제공해주고, 비즈니스 니즈, 통제성, 관리성 수준에 따라 이중 한 가지를 선택하거나 세 가지 모두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럼 IaaS,PaaS,SaaS가 무엇이고 각기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Iaas는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데이터 센터용 공간 등 클라우드 IT환경 전반을 제공하..

리액트를 하다보면 터미널에서 무수한 eslint 에러 코드를 볼때가 있을것이다. App.js 파일에 다음과 같은 주석문을 추가해준다. /* eslint-disable */

State State는 리액트에서 앱의 유동적인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있는 객체입니다. 일반적으로 리액트에서는 유동적인 데이터는 변수에 담아서 사용하지 않고 useState() 라는 리액트 함수를 사용하여 State라는 저장공간에 담아 사용합니다. State를 사용하는 이유 State는 변경되면 자동으로 재렌더링 된다. (변수는 변경되어도 자동 재렌더링이 안됨) State 동작 원리 import {useState} from 'react'; let [state, setState] = useState('State'); // ES6 destructuring React 라이브러리에 있는 useState()함수를 통해 st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eState()를 실행시키면 초기값으로 설정해 놓은 sta..

Creac React App 리액트 웹 개발환경 셋팅 Node.js 최신 버전 설치 웹스톰 최신 버전 설치 웹스톰에서 터미널을 열고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해줍니다.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npx create-react-app -g 옵션은 패키지를 전역으로 설치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엔드포인트(EndPoint) 엔드포인트란 AWS를 벗어나지 않고 EC2인스턴스를 VPC 외부서비스(AWS의 서비스)와 Private 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엔드포인트 특징※ 인터넷이 필요없다. 동일한 리전에 있어야 한다. 가용성이 뛰어나고 중복적이며, 수평적으로 확장된다. 출처:https://blog.voidmainvoid.net/393

ELB 와 ALB에 대해 들어가기 앞서 로드밸런서에 대해 짚고 넘어가 봅시다.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서버에 가해지는 트래픽을 여러대의 서버에게 균등하게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로드 밸런서입니다. 서버가 하나일 때 트래픽이 적으면 서버는 무사히 응답을 해줄 것입니다. 하지만 트래픽이 서버 한개로는 감당할 수 없는 양이 되는 순간 서버는 다운될 것이고, 서비스 또한 작동을 멈출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서버의 인스턴스 성능을 올리는 스케일-업(Scale-up) 과 서버를 여러대로 나눠서 트래픽을 처리하는 스케일-아웃(Scale-out) 방식이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하는 이 로드 밸런서는 바로 스케일-아웃 방식입니다. 그리고 로드 밸런..